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 43.ruq336.top ⊂ 신바다이야기
작성자: 나영빛차
등록일: 25-01-08 09:47
【43.rmx342.top】
바다이야기 코드릴게임 코리아슬롯머신황금성게임어플
슬롯머신 기계 구입 중고게임기 매매 한게임머니파는곳 손오공바다이야기 이벤트릴게임 릴게임황금포카성 바다이야기 무료 황금성릴 신천지 바다이야기파일 양귀비게임설명 온라인 릴게임 정보 프라그마틱 슬롯 추천 신천기릴게임 신천지게임 인터넷야마토릴게임 온라인야마토릴게임 슬롯 무료체험 손오공게임온라인 신바다이야기 신천지인터넷게임 바둑이넷마블 pc게임 성인놀이터 릴게임이벤트 빠찡코 하는 방법 모바일신천지 야마토2 릴게임 황금성 게임 다운로드 릴게임 신천지사이트 릴게임먹튀검증 방법 바다이야기프로그램 바다이야기슬롯 백경사이트 신천지릴게임장주소 온라인야마토 잭팟게임 오락실게임 파라다이스 오션파라다이스 다운 최신야마토 바다이야기 게임기 골드몽게임 강시 바다이야기 코드 슬롯사이트 야마토릴 유희왕 황금성 무료릴게임 야마토게임사이트 일본야마토게임 야마토5 프라 그마 틱 무료체험 머니 프라그마틱무료메타2 강원랜드 슬롯 잘 터지는 기계 오리지날야마토 인터넷바다이야기게임 파친코게임 황금성 슬롯 알라딘 릴게임 바다이야기상어 황금성하는법 최신바다이야기게임 무료충전 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2 릴게임다빈치 카지노 슬롯머신 종류 온라인빠찡고 파칭코게임 소액 슬롯 추천 릴게임연타 프라그마틱 슬롯 종류 황금성게임방법 양귀비예시 체리마스터 판매 슬롯머신 무료 오션슬롯 먹튀 황금성게임어플 뽀빠이 릴게임 빠찡코 체리마스터 다운 모바일신천지모바일 슬롯 무료스핀구매 오션파라다이스시즌7 황금성3 릴게임이란 마이크로 슬롯 무료체험 손오공바다이야기 신 바다이야기 릴게임보물섬 골드몽 신천지예시 바다이야기먹튀돈받기 모바일오션 파라 다이스7 강원랜드슬롯머신 황금성게임공략 법 바다이야기 파칭코 일본빠칭코게임 사설배팅 프라그마틱 슬롯 종류 일본빠징고 pc빠찡꼬게임 최신 릴게임 슬롯 검증사이트 오션파라다이스게임하는법 포커게임사이트 야마토노하우 황금성게임동영상 야마토5게임기 알라딘릴게임 사이트 모바일 게임 공략 온라인 릴게임 정보 야마토게임기 백경온라인 신천지사이트 pc릴게임 성인릴게임 슬롯무료게임 백경온라인 바다이야기 게임기 실시간바둑이 온라인삼국지 오토 프라 그마 틱 무료체험 머니 릴게임매장 오리지날릴게임 오리지날황금성 (지디넷코리아=류은주 기자)[라스베이거스(미국)=류은주 기자] "(기술로)연결하고 (문제를)해결하며, (새로운 가능성을)발견하라.”
7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5'가 화려한 막을 올렸다. 올해 CES 주제는 '몰입(Dive in)'이다.
올해 CES는 166개 국가에서 4천500여개 이상 기업이 참가했다. 전년 대비 29% 이상 증가한 규모다. 코로나19로 행사 규모가 크게 축소됐다가 엔데믹 후 점점 예전의 위용을 되찾는 모양새다.
CES 2025가 열린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 로비 전경 (사진=지디넷코리아)
지원방법
가장 주목받는 분야는 올해도 '인공지능(AI)'이다. 다만, 이전 CES에서는 AI와 같은 혁신 기술의 패러다임 변화를 외치는 수준이었다면, 이제는 대중화로 전환하는 단계라는 평가다.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대거 공개됐기 때문이다.
이밖에 주로 모빌리티, 로보틱스, 디지털헬스 등의 테마를 다뤘으며, 올해는 후불교통카드 연체 신용등급 양자컴퓨팅이 새롭게 추가돼 주목을 받았다.
일상 속 'AI' 강조한 삼성·LG...크고 화려한 전시장 '시선'
대규모 부스를 꾸린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AI 가전'을 전면에 내세웠다. AI 홈 기술을 일상에서 활용하는 구체적인 기술들을 소개하며 '초개인화'를 강조했다.
햇살론 연체
'모두를 위한 AI'를 주제로한 삼성전자 전시관 (사진=지디넷코리아)
삼성전자 전시관에서는 다양한 가족 구성원들 요구를 반영한 5가지 유형의 집을 소개했다. ▲최신 AI 기술과 스마트싱스 허브를 탑재한 다양한 제품 ▲조명·도어록에서 피트니스· 저축은행 담보대출 헬스까지 보다 강화된 스마트싱스 생태계 ▲다양한 상황별 개인화된 홈 AI 경험 ▲집을 넘어 차량과 선박·빌딩까지 확장되는 홈 AI 진화를 볼 수 있다.
더프레임으로 꾸며진 전시 공간은 마치 미술관을 방불케 한다.
더프레임 전시장에 들어가는 모습 (영상= 농협중앙회 지디넷코리아)
LG전자는 미래 일상 속 AI 경험을 생생하게 보여주기 위해 프레스 콘퍼런스 중간에 배우들이 연기를 하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했다. 엑스붐 브랜드를 함께 만든 뮤지션 윌아이엠이 깜짝 등장해 관중들의 환호를 자아내기도 했다.
투명·무선 LG 시그니처 OLED T로 28대로 만든 초대형 미디어아트 (영상=지디넷코리아)
LG전자는 전시장 입구와 한 가운데 대형 미디어 아트를 설치해 관람객 시선을 사로잡았다. 세계 최초 투명·무선 77형 LG 시그니처 올레드(OLED) T 28대로 만든 초대형 미디어아트는 구글 이매진과 협업해 만들었다. 스테인드 글라스 등 화려한 영상들이 수시로 바뀌어 시선을 끈다.
투명·무선 LG 시그니처 OLED T와 스탠바이미2(오른쪽)이 전시된 모습 (영상=지디넷코리아)
한편, LG전자는 올해 CES 전시장을 시간대별로 구분해 전시했다. 예를 들어 오전 시간대에는 AI홈 존에서 아침을 맞는 고객의 일상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으며, 집을 나서면서 타게되는 차량에서 AI 인캐빙 센싱 등을 소개한다.
가전 굴기 中 기업, AI로봇·AR글라스 등 공개하며 경쟁 예고
삼성전자와 LG전자 바로 옆에는 이제 중국 가전 기업들이 자리하는 게 정례화됐다. TCL과 하이센스도 AI 가전을 선보이며 국내 기업들과 비슷한 콘셉트를 앞세우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TCL 과 하이센스 부스 (영상=지디넷코리아)
하이센스는 개막 전날 프레스콘퍼런스에서 AI 미래 비전을 공개했다. 다만, 고객 맞춤형 TV를 앞세운 삼성전자·LG전자와 달리 AI 소개는 최소화하고 TV 성능을 알리는 데 집중했다.
하이센스 전시장에서 피자를 만들어 주는 모습 (영상=지디넷코리아)
전시 부스에서는 TV뿐 아니라 주방 가전과 공조를 비롯해 전장 제품 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였다. 올해 출시할 AR글라스도 체험해 볼 수 있다.
TCL이 공개한 반려로봇 '헤이에이미' (영상=지디넷코리아)
TCL의 경우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지난해 CES에서 공개한 AI 비서 로봇 '볼리', 'Q9'과 비슷한 반려로봇 '헤이에이미'를 선보여 이목을 끌었다. TCL 역시 AR글라스 신제품을 선보이며 이밖에 게이밍 모니터와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모빌리티에 힘준 기업들...미래차 기술의 향연
참가기업 중 가장 큰 부스를 꾸민 삼성전자 전시장에는 현대차 아이오닉9도 볼 수 있다. '차량용 스마트싱스' 솔루션을 소개하며 스마트싱스 B2B 영역 확장 사례를 소개한다. 자회사 하만의 기술력도 엿볼 수 있다.
하만 데모 차량이 전시된 모습 (사진=지디넷코리아)
LG이노텍은 3년 연속 웨스트홀 입구 초입에 부스를 만들어 '전장'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올해 CES에서는 목업 차량에 넥슬라이드 비전 등 신제품을 선보였다.
LG이노텍 부스에 전시된 목업 차량에 탑재된 넥슬라이드 (사진=지디넷코리아)
LG디스플레이는 올해 CES에 참가하지 않았지만 경쟁사로 꼽히는 중국 BOE는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전시하는 공간을 마련했다.
BOE 슬라이더블 차량용 디스플레이 (영상=지디넷코리아)
현대차도 올해 CES에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현대모비스는 웨스트홀에 부스를 마련해 전장 기술을 홍보했다. 독일 광학기업 자이스와 협업해 만든 차세대 홀로그래픽 윈드쉴드(앞유리)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보였다.
혼다도 '살룬'을 공개했다. 살룬은 혼다 0 시리즈 플래그십 콘셉트 모델이다.
혼다 콘셉트카 '살룬' (사진=지디넷코리아)
이 밖에 샤오펑 플라잉카와 자율주행차 업체 웨이모, 죽스 등이 실제 차량을 전시해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샤오펑 플라잉카를 관람객이 체험하는 모습 (사진=지디넷코리아)
웨이모 자율주행차(왼쪽)과 죽스 자율주행차 (사진=지디넷코리아)
롯데이노베이트의 메타버스 체험존도 관람객들의 인기를 끌었다. 이밖에 HL만도, 대동 등 국내 기업들도 전시에 참가해 신기술을 홍보했다.
롯데이노베이트 부스에서 메타버스 콘텐츠를 체험하는 관람객들의 모습 (사진=지디넷코리아)
AI 황제 '젠슨 황' 보러 1만여명 몰려...도요타도 5년만에 찾아
이번 CES에서 가장 많은 인파를 부른 인물은 바로 'AI 황제'로 불리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다. 그를 보기 위해 1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기조연설이 열리는 만달레이베이 호텔에 몰리기도 했다.
6일 CES 기조연설에서 프로젝트 디지츠 실물 제품을 공개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사진=지디넷코리아)
그를 조금 더 좋은 자리에서 보기 위해 기조연설 시작 3시간 전부터 1천명이 넘는 참관객들이 줄을 서기 시작했다. 황 CEO는 이날 휴머노이드 등 로봇을 위한 AI시스템 '피지컬 AI' 개발 플랫폼 코스모스를 공개했다. 다만, 기대를 모았던 SK하이닉스 또는 삼성전자와의 협업을 언급하지 않고, RTX시리즈 발표 당시 마이크론만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토요타 우븐 시티 (사진=토요타)
도요타도 5년 만에 CES를 찾았다. 부스는 별도로 꾸리지 않고 미래 청사진만 발표했다. 도요타는 ‘토요타 우븐 시티' 1단계 건축이 완료돼 올해 공식 론칭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명인 누구누구 왔나...LG전자 부스 찾은 '윌아이엠'
CES는 좀처럼 얼굴을 보기 힘든 기업 총수들이나 유명인들이 참관객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작년 CES는 가수 G드래곤의 깜짝 등장으로 화제를 모았다. 주요 그룹 오너일가 3세인 정기선 HD현대 부회장과 신유열 롯데지주 부사장 등도 CES 관람에 나서 주목을 받았다.
LG월드프리미어에서 윌아이엠이 등장한 모습 (영상=지디넷코리아)
올해는 뮤지션 윌아이엠이 LG전자 부스를 깜짝 방문하기도 했다. 그는 전날 열린 LG전자 월 프리미어에도 깜짝 등장해 LG엑스붐 브랜드를 직접 소개했다. 신유열 부사장은 올해도 CES를 방문해 롯데이노베이트 전시관을 둘러봤다.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3년 연속 CES를 찾았다. 8일 최 회장을 비롯한 곽노정 SK하이닉스사장,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등 SK그룹 계열사 경영진이 부스를 투어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최태원 회장은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회동할 예정이다.
류은주 기자(riswell@zdnet.co.kr)
바다이야기 코드릴게임 코리아슬롯머신황금성게임어플
슬롯 머신 html ꍏ 51.rmx342.top ꍏ 바다이야기예시
바다이야기pc ꍏ 56.rmx342.top ꍏ 오션
한게임바둑이 ꍏ 53.rmx342.top ꍏ 오션슬롯 먹튀
우주전함야마토2199 ꍏ 57.rmx342.top ꍏ 바다이야기배당
슬롯머신 기계 구입 중고게임기 매매 한게임머니파는곳 손오공바다이야기 이벤트릴게임 릴게임황금포카성 바다이야기 무료 황금성릴 신천지 바다이야기파일 양귀비게임설명 온라인 릴게임 정보 프라그마틱 슬롯 추천 신천기릴게임 신천지게임 인터넷야마토릴게임 온라인야마토릴게임 슬롯 무료체험 손오공게임온라인 신바다이야기 신천지인터넷게임 바둑이넷마블 pc게임 성인놀이터 릴게임이벤트 빠찡코 하는 방법 모바일신천지 야마토2 릴게임 황금성 게임 다운로드 릴게임 신천지사이트 릴게임먹튀검증 방법 바다이야기프로그램 바다이야기슬롯 백경사이트 신천지릴게임장주소 온라인야마토 잭팟게임 오락실게임 파라다이스 오션파라다이스 다운 최신야마토 바다이야기 게임기 골드몽게임 강시 바다이야기 코드 슬롯사이트 야마토릴 유희왕 황금성 무료릴게임 야마토게임사이트 일본야마토게임 야마토5 프라 그마 틱 무료체험 머니 프라그마틱무료메타2 강원랜드 슬롯 잘 터지는 기계 오리지날야마토 인터넷바다이야기게임 파친코게임 황금성 슬롯 알라딘 릴게임 바다이야기상어 황금성하는법 최신바다이야기게임 무료충전 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2 릴게임다빈치 카지노 슬롯머신 종류 온라인빠찡고 파칭코게임 소액 슬롯 추천 릴게임연타 프라그마틱 슬롯 종류 황금성게임방법 양귀비예시 체리마스터 판매 슬롯머신 무료 오션슬롯 먹튀 황금성게임어플 뽀빠이 릴게임 빠찡코 체리마스터 다운 모바일신천지모바일 슬롯 무료스핀구매 오션파라다이스시즌7 황금성3 릴게임이란 마이크로 슬롯 무료체험 손오공바다이야기 신 바다이야기 릴게임보물섬 골드몽 신천지예시 바다이야기먹튀돈받기 모바일오션 파라 다이스7 강원랜드슬롯머신 황금성게임공략 법 바다이야기 파칭코 일본빠칭코게임 사설배팅 프라그마틱 슬롯 종류 일본빠징고 pc빠찡꼬게임 최신 릴게임 슬롯 검증사이트 오션파라다이스게임하는법 포커게임사이트 야마토노하우 황금성게임동영상 야마토5게임기 알라딘릴게임 사이트 모바일 게임 공략 온라인 릴게임 정보 야마토게임기 백경온라인 신천지사이트 pc릴게임 성인릴게임 슬롯무료게임 백경온라인 바다이야기 게임기 실시간바둑이 온라인삼국지 오토 프라 그마 틱 무료체험 머니 릴게임매장 오리지날릴게임 오리지날황금성 (지디넷코리아=류은주 기자)[라스베이거스(미국)=류은주 기자] "(기술로)연결하고 (문제를)해결하며, (새로운 가능성을)발견하라.”
7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5'가 화려한 막을 올렸다. 올해 CES 주제는 '몰입(Dive in)'이다.
올해 CES는 166개 국가에서 4천500여개 이상 기업이 참가했다. 전년 대비 29% 이상 증가한 규모다. 코로나19로 행사 규모가 크게 축소됐다가 엔데믹 후 점점 예전의 위용을 되찾는 모양새다.
CES 2025가 열린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 로비 전경 (사진=지디넷코리아)
지원방법
가장 주목받는 분야는 올해도 '인공지능(AI)'이다. 다만, 이전 CES에서는 AI와 같은 혁신 기술의 패러다임 변화를 외치는 수준이었다면, 이제는 대중화로 전환하는 단계라는 평가다.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대거 공개됐기 때문이다.
이밖에 주로 모빌리티, 로보틱스, 디지털헬스 등의 테마를 다뤘으며, 올해는 후불교통카드 연체 신용등급 양자컴퓨팅이 새롭게 추가돼 주목을 받았다.
일상 속 'AI' 강조한 삼성·LG...크고 화려한 전시장 '시선'
대규모 부스를 꾸린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AI 가전'을 전면에 내세웠다. AI 홈 기술을 일상에서 활용하는 구체적인 기술들을 소개하며 '초개인화'를 강조했다.
햇살론 연체
'모두를 위한 AI'를 주제로한 삼성전자 전시관 (사진=지디넷코리아)
삼성전자 전시관에서는 다양한 가족 구성원들 요구를 반영한 5가지 유형의 집을 소개했다. ▲최신 AI 기술과 스마트싱스 허브를 탑재한 다양한 제품 ▲조명·도어록에서 피트니스· 저축은행 담보대출 헬스까지 보다 강화된 스마트싱스 생태계 ▲다양한 상황별 개인화된 홈 AI 경험 ▲집을 넘어 차량과 선박·빌딩까지 확장되는 홈 AI 진화를 볼 수 있다.
더프레임으로 꾸며진 전시 공간은 마치 미술관을 방불케 한다.
더프레임 전시장에 들어가는 모습 (영상= 농협중앙회 지디넷코리아)
LG전자는 미래 일상 속 AI 경험을 생생하게 보여주기 위해 프레스 콘퍼런스 중간에 배우들이 연기를 하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했다. 엑스붐 브랜드를 함께 만든 뮤지션 윌아이엠이 깜짝 등장해 관중들의 환호를 자아내기도 했다.
투명·무선 LG 시그니처 OLED T로 28대로 만든 초대형 미디어아트 (영상=지디넷코리아)
LG전자는 전시장 입구와 한 가운데 대형 미디어 아트를 설치해 관람객 시선을 사로잡았다. 세계 최초 투명·무선 77형 LG 시그니처 올레드(OLED) T 28대로 만든 초대형 미디어아트는 구글 이매진과 협업해 만들었다. 스테인드 글라스 등 화려한 영상들이 수시로 바뀌어 시선을 끈다.
투명·무선 LG 시그니처 OLED T와 스탠바이미2(오른쪽)이 전시된 모습 (영상=지디넷코리아)
한편, LG전자는 올해 CES 전시장을 시간대별로 구분해 전시했다. 예를 들어 오전 시간대에는 AI홈 존에서 아침을 맞는 고객의 일상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으며, 집을 나서면서 타게되는 차량에서 AI 인캐빙 센싱 등을 소개한다.
가전 굴기 中 기업, AI로봇·AR글라스 등 공개하며 경쟁 예고
삼성전자와 LG전자 바로 옆에는 이제 중국 가전 기업들이 자리하는 게 정례화됐다. TCL과 하이센스도 AI 가전을 선보이며 국내 기업들과 비슷한 콘셉트를 앞세우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TCL 과 하이센스 부스 (영상=지디넷코리아)
하이센스는 개막 전날 프레스콘퍼런스에서 AI 미래 비전을 공개했다. 다만, 고객 맞춤형 TV를 앞세운 삼성전자·LG전자와 달리 AI 소개는 최소화하고 TV 성능을 알리는 데 집중했다.
하이센스 전시장에서 피자를 만들어 주는 모습 (영상=지디넷코리아)
전시 부스에서는 TV뿐 아니라 주방 가전과 공조를 비롯해 전장 제품 까지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였다. 올해 출시할 AR글라스도 체험해 볼 수 있다.
TCL이 공개한 반려로봇 '헤이에이미' (영상=지디넷코리아)
TCL의 경우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지난해 CES에서 공개한 AI 비서 로봇 '볼리', 'Q9'과 비슷한 반려로봇 '헤이에이미'를 선보여 이목을 끌었다. TCL 역시 AR글라스 신제품을 선보이며 이밖에 게이밍 모니터와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모빌리티에 힘준 기업들...미래차 기술의 향연
참가기업 중 가장 큰 부스를 꾸민 삼성전자 전시장에는 현대차 아이오닉9도 볼 수 있다. '차량용 스마트싱스' 솔루션을 소개하며 스마트싱스 B2B 영역 확장 사례를 소개한다. 자회사 하만의 기술력도 엿볼 수 있다.
하만 데모 차량이 전시된 모습 (사진=지디넷코리아)
LG이노텍은 3년 연속 웨스트홀 입구 초입에 부스를 만들어 '전장'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올해 CES에서는 목업 차량에 넥슬라이드 비전 등 신제품을 선보였다.
LG이노텍 부스에 전시된 목업 차량에 탑재된 넥슬라이드 (사진=지디넷코리아)
LG디스플레이는 올해 CES에 참가하지 않았지만 경쟁사로 꼽히는 중국 BOE는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전시하는 공간을 마련했다.
BOE 슬라이더블 차량용 디스플레이 (영상=지디넷코리아)
현대차도 올해 CES에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현대모비스는 웨스트홀에 부스를 마련해 전장 기술을 홍보했다. 독일 광학기업 자이스와 협업해 만든 차세대 홀로그래픽 윈드쉴드(앞유리)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보였다.
혼다도 '살룬'을 공개했다. 살룬은 혼다 0 시리즈 플래그십 콘셉트 모델이다.
혼다 콘셉트카 '살룬' (사진=지디넷코리아)
이 밖에 샤오펑 플라잉카와 자율주행차 업체 웨이모, 죽스 등이 실제 차량을 전시해 관람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샤오펑 플라잉카를 관람객이 체험하는 모습 (사진=지디넷코리아)
웨이모 자율주행차(왼쪽)과 죽스 자율주행차 (사진=지디넷코리아)
롯데이노베이트의 메타버스 체험존도 관람객들의 인기를 끌었다. 이밖에 HL만도, 대동 등 국내 기업들도 전시에 참가해 신기술을 홍보했다.
롯데이노베이트 부스에서 메타버스 콘텐츠를 체험하는 관람객들의 모습 (사진=지디넷코리아)
AI 황제 '젠슨 황' 보러 1만여명 몰려...도요타도 5년만에 찾아
이번 CES에서 가장 많은 인파를 부른 인물은 바로 'AI 황제'로 불리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다. 그를 보기 위해 1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기조연설이 열리는 만달레이베이 호텔에 몰리기도 했다.
6일 CES 기조연설에서 프로젝트 디지츠 실물 제품을 공개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사진=지디넷코리아)
그를 조금 더 좋은 자리에서 보기 위해 기조연설 시작 3시간 전부터 1천명이 넘는 참관객들이 줄을 서기 시작했다. 황 CEO는 이날 휴머노이드 등 로봇을 위한 AI시스템 '피지컬 AI' 개발 플랫폼 코스모스를 공개했다. 다만, 기대를 모았던 SK하이닉스 또는 삼성전자와의 협업을 언급하지 않고, RTX시리즈 발표 당시 마이크론만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토요타 우븐 시티 (사진=토요타)
도요타도 5년 만에 CES를 찾았다. 부스는 별도로 꾸리지 않고 미래 청사진만 발표했다. 도요타는 ‘토요타 우븐 시티' 1단계 건축이 완료돼 올해 공식 론칭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명인 누구누구 왔나...LG전자 부스 찾은 '윌아이엠'
CES는 좀처럼 얼굴을 보기 힘든 기업 총수들이나 유명인들이 참관객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작년 CES는 가수 G드래곤의 깜짝 등장으로 화제를 모았다. 주요 그룹 오너일가 3세인 정기선 HD현대 부회장과 신유열 롯데지주 부사장 등도 CES 관람에 나서 주목을 받았다.
LG월드프리미어에서 윌아이엠이 등장한 모습 (영상=지디넷코리아)
올해는 뮤지션 윌아이엠이 LG전자 부스를 깜짝 방문하기도 했다. 그는 전날 열린 LG전자 월 프리미어에도 깜짝 등장해 LG엑스붐 브랜드를 직접 소개했다. 신유열 부사장은 올해도 CES를 방문해 롯데이노베이트 전시관을 둘러봤다.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3년 연속 CES를 찾았다. 8일 최 회장을 비롯한 곽노정 SK하이닉스사장,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등 SK그룹 계열사 경영진이 부스를 투어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최태원 회장은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회동할 예정이다.
류은주 기자(riswell@zdnet.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